사회 교과

 

1)한국사의이해

한국사의 이해’는 전근대사를 중심으로 근대사를 포함하여 우리 민족이 살아 온 삶의 총체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교과목이며, 민족 구성원으로서의 정체성을 함양시키는 역할도 맡는다. 우리 역사를 보다 구조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민족사의 전개과정을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으로 분류하여 체계적으로 학습한다.

 

2)세계사의 이해

오늘날 인류는 ‘세계화’된 시대에 살고 있다. 이런 시대를 살아가려면 다른 문화권, 다른 민족들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다. 세계사 과목을 공부함으로써 학생들은 우리나라를 넘어 세계를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민족과 국가, 문화권들의 역사적 변화와 발전 과정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또 이를 통해 인류 역사의 큰 흐름과 현재 우리가 처해 있는 상황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3)정치와 경제

‘정치와 경제’는 사회 교과의 목표인 민주 시민의 양성과 리더십 함량에 목적이 있다. 따라서 상호 유기적인 관계에 있는 정치와 경제 현상을 폭넓은 맥락에서 종합적으로 인식하고, 소통과 배려, 상호 존중의 역량을 갖춘 민주 시민으로서의 소양을 갖출 수 있도록 정치와 경제의 이론과 실제, 학문적 측면과 경험적 측면을 연결시킬 수 있는 사례 중심 또는 주제 중심으로 교과를 구성한다.

4) 철학

인식의 주체자로서 세상을 경험하고 살아가는 우리가 세상과 인간에 대해 무엇을 알 수 있는지, 그리고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해 철학적으로 고찰해본다. 이를 통해 서양철학의 존재론, 인식론, 윤리학에 대한 기초를 다지고 철학적 사고방식을 체득하여 새로운 문제에도 창의적으로 접근하는 방법을 배운다.

 

5) 한국현대사

오늘날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는 역사의 산물이며, 역사적 변화의 한 과정이다. 한국현대사는 현재의 생활과 직접 연결되는 역사이다. 근현대의 변화는 오늘의 사회를 형성하는 토대가 되었으며, 근현대사가 남긴 과제의 해결은 우리의 몫이다. 한국 현대사 학습을 통해 우리 사회가 가지고 있는 역사적 과제를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려는 실천적 삶의 의지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6) 그림, 음악, 영화로 보는 세계사

‘그림, 음악, 영화로 보는 세계사’ 과목은 역사 교과목의 기초적 수준을 넘어 역사의 주요 장면들과 주요 문제들을 심도 있게 이해하고 그를 통해 인간과 세상에 대한 공감 능력과 통찰력을 키울 수 있도록 설계된 역사 심화 과목이다. ‘세계사의 이해’라는 필수과목을 수강한 후 이 과목을 선택한 학생들은 필수 세계사 과목에서 다루었던 주요 주제들 뿐 아니라 다루지 못했던 19세기, 20세기의 현대사를 다양한 문화적 콘텐츠를 통해 공부하게 될 것이다.

 

7)디지털경제

‘디지털 경제’ 과목은 인류의 삶을 보다 편리하고 풍요롭게 하는 디지털 전환이 경제 현상에 미치는 과정과 그 영향을 파악하여 디지털 사회의 주인공으로서 변화와 혁신에 적응하게 하고, 디지털 경제에서 직면하게 되는 복합적 문제를 통찰력을 통해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우는 데 목적이 있다.

 

8)존재와 인식

본 교과목은 인지적 활동을 하면서 필연적으로 맞닥뜨리게 되는 존재와 의식에 대해 철학적으로 고찰한다. 전반부는 인식론에 대한 심화 내용을 다루며, 지각과 의식에 대한 존재론적 분석과 그 인식론적 함의를 탐구한다. 후반부에서는 앞의 내용을 기반으로 과학적 실재론, 자유의지, 가상현실, 사회과학 등 구체적인 개별 분야에 대한 철학적 접근을 모색해본다. 이 과정에서 존재론과 인식론의 주요 주제에 대한 이해를 얻고, 다양한 분야에서 철학적 분석이 적용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